wearechurch

All Posts By
담임목사 칼럼
2023년 6월 9일

누구를 위해서 울어야 하는가

본문: 예레미야애가 2:11-17 찬송: 343장. 시험 받을 때에 예언자들의 실패 예루살렘을 위한 두 부류의 예언자들이 존재했습니다. 그들이 듣기 원하는 말을 하는 예언자와 그들이 들어야 할 말을 전하는 예언자입니다. 사람들은 누구의 말에 더 귀를 기울일까요? 내가 원하는 것을 말해주는 예언자의 말에…
Read More
담임목사 칼럼
2023년 6월 7일

하나님의 진노가 향하는 곳

본문: 예레미야애가 2:1-10 찬송: 278장. 여러 해 동안 주 떠나 대적이 되신 하나님 나의 싸움이 아니라 하나님의 싸움을 싸우는 자는 원수 앞에서 두렵지 않습니다. 원수가 두려워 합니다. 하나님의 사람을 찾으시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자가 될 때 원수는…
Read More
담임목사 칼럼
2023년 6월 6일

의로우신 하나님

본문: 예레미야애가 1:18-22 찬송: 400장. 험한 시험 물속에서 나의 반역이 심히 큽니다 죄인과 의인의 차이는 하나님의 심판 앞에서 드러납니다. 그들의 행위대로 보응을 받게 될 것입니다. 악인을 향한 보응은 하나님의 심판 가운데에서도 회개하지 않는 모습입니다. 의인의 종말은 마지막까지 인내함으로 구원을 얻게…
Read More
담임목사 칼럼
2023년 6월 5일

선지자의 눈물

본문: 예레미야애가 1:12-17 찬송: 272장. 고통의 멍에 벗으려고 하나님의 진노 예레미야의 눈물은 무너진 예루살렘성 때문입니다. 그의 아픔은 예루살렘을 향한 그의 사랑 때문에 더해졌습니다. 선지자는 대적들의 진노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의 진노 때문에 눈물 흘리는 사람입니다. 그 성의 몰락을 예언하였음에도 여전히 돌이키지…
Read More
담임목사 칼럼
2023년 6월 3일

성령님과 동행하는가

본문: 디도서 3:1-15 찬송: 542장. 구주 예수 의지함이 선한 일에 힘쓰라 그레데 사람들을 상대로 사역하고 그곳에 교회를 세우는 일은 상당한 도전입니다. 그곳은 마음의 밭이 별로 좋지 않은 땅이 분명했습니다. 그곳에서 사역하기 위해서 디도는 현실에 타협해야 할지 아니면 본질을 붙잡고 정면승부를…
Read More
담임목사 칼럼
2023년 6월 2일

모든 사람을 향한 하나님의 구원

본문: 디도서 2:1-15 찬송: 454장. 주와 같이 되기를 바른 교훈을 가르치라 교훈을 주는 사람들은 많습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바른 교훈입니다. 교회를 위협하는 것은 잘못된 가르침입니다. 그들이 더 지혜로워 보이고 사람들을 설득하는데 탁월합니다. 아직 성숙되지 않은 자들에게는 큰 미혹이 아닐 수…
Read More
담임목사 칼럼
2023년 6월 1일

세상 속의 그리스도인

본문: 디도서 1:1-16 찬송: 320장. 나의 죄를 정케 하사 디도는 누구인가 디도는 바울과 신실한 동역을 해온 사람이었습니다. 복음을 전파하는 일과 동일한 고난 가운데 동역자로서 함께 하였습니다. 같은 믿음을 갖게 되는 것이 동역의 기초입니다. 그 믿음이 같지 않은 경우 부부가 되어…
Read More
담임목사 칼럼
2023년 5월 30일

백성들의 죄와 다윗의 죄

본문: 삼하 24:1-14 찬송: 254장. 내 주의 보혈은 회개의 기회 다윗의 인생에 두 가지 오점 가운데 하나를 소개한 본문입니다. 하나는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와 간음하고 우리아를 죽인 일입니다. 또 하나는 노년에 실시한 인구조사입니다. 왜 다윗은 노년에 인구 조사를 하여 하나님 앞에서…
Read More
담임목사 칼럼
2023년 5월 29일

은혜와 닮은 충성

본문: 삼하 23:13-39 찬송: 331장. 영광을 받으신 만유의 주여 마실 수 없는 우물물 지나친 충성과 헌신을 보면 그것이 낭비처럼 보일 때가 있습니다. 충성은 은혜와 닮았습니다. 자신을 내어 주시고 십자가에서 죽으신 예수님의 사랑에 대해서 우리는 낭비라고 여기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그…
Read More
담임목사 칼럼
2023년 5월 27일

하나님을 더 크게 노래하라

본문: 삼하 22:29-51 찬송: 20장. 큰 영광 중에 계신 주 완전하신 하나님 하나님이 우리의 견고한 요새가 되시는 이유는 완전하시기 때문입니다. 이 완전함의 다른 표현이 거룩입니다. 거룩은 흠이 없는 완전한 의로움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우리의 힘으로 불가능한 것이 하나 있다면 거룩해 지는…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