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임목사 칼럼

포기하지 않는 기도

By 2022년 3월 1일 No Comments

본문: 눅 18:1-8
찬송: 365장. 마음 속에 근심 있는 사람.

억울한 과부

믿음의 기도는 반드시 응답 받습니다. 단지 내가 원하는 응답이 아닐 수 있습니다. 응답 받지 못한 기도의 원인은 신실하지 못한 하나님 때문이 아니라 신실하지 못한 기도자 때문입니다. 우리는 기도의 응답을 기다리다 실망하고 고개를 돌릴 때가 많습니다. 하나님은 당신이 끝까지 기도하기를 원하십니다. 우리는 여전히 충분히 기도하지 못합니다. 기도는 먼저 기도자를 변화시킵니다. 기도할 때 모든 상황의 주어가 바뀝니다. 내가 아니라 주님이 그 문제를 다루실 것입니다. 과부는 힘이 없는 사회적 약자입니다. 아무도 그에게 관심을 갖지 않습니다. 그래서 과부에게는 더 억울한 일이 많아집니다. 기도할 제목이 많아질 것입니다. 억울한 일을 당해도 이 땅에 그를 도와줄 사람이 없습니다. 이 세상에서 성도로 살아갈 때 주님이 원하는 성도의 모습은 끈질기게 기도하는 과부의 모습입니다. 이 땅의 불의한 일을 최전방에서 겪고 있는 자가 있습니다. 당신의 기도가 사라진 이유는 이제 더 이상 억울한 과부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은혜로 이미 배부르고 고난을 잊은 것입니다. 이 땅에서 하나님의 백성으로 바라보는 세상은 결코 완전하지 않습니다. 억울한 자들의 편에 서서 함께 기도하는 자가 되어야 마땅합니다. 세상은 당신의 포기하지 않는 기도가 필요합니다.

불의한 재판장

이 땅에 재판장이 존재합니다. 불의한 일들이 너무 많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누군가는 공평하게 판결을 내리고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도록 권한을 가지고 판결해야 합니다. 끊임없는 갈등 속에서 억울한 일이 많아집니다. 법 앞에서 모든 사람이 평등해야 합니다. 그 법을 근거로 판결하는 재판장에게 두 가지가 필요합니다. 하나님을 두려워하고 사람을 존중하는 것입니다. 억울한 과부는 불의한 재판장에게 쉬지 않고 찾아갔습니다. 그가 다른 곳에 호소할 곳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불의한 재판관이 그 여인의 간청에 귀를 기울이게 된 이유는 정의를 위한 것이 아니라 그녀의 간절한 요구 때문이었습니다. 하나님은 의로운 재판장이십니다. 억울한 과부는 공의로운 재판장을 원했지만 하나님은 포기하지 않는 과부를 원하십니다. 우리가 억울한 과부와 같이 하나님에게 나아가 간절히 구하지 않는 이유는 첫째, 억울한 자의 편에 서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둘째, 믿음이 없기 때문입니다. 성도에게 필요한 것은 하나님의 나라가 이 땅에 온전히 세워질 때까지 기도하는 일을 쉬지 않는 것입니다. 사무엘은 사사의 명예를 잃고 왕을 세우는 자가 되었지만 이스라엘을 위해서 기도하는 일을 쉬지 않았습니다. 자기를 배반한 자들을 위해서 사랑으로 기도하는 중보자가 되어야 합니다.

기도제목

1. 하나님의 나라가 회복될 때까지 기도하는 일을 쉬지 않는 성도가 되게 하소서. 끊질긴 기도, 포기하지 않는 기도로 살게 하소서.
2. 이 땅에 억울한 일이 많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살아 계십니다. 포기하지 않는 기도를 통하여 성취될 하나님의 나라를 믿음으로 바라보게 하소서.

댓글 남기기